본문 바로가기
Information

소프트렌즈, 하드렌즈 차이점, 장단점 총 정리! / 알고 구매하자!

by 머근이 2022. 4. 5.

소프트레즈, 하드렌즈
소프트렌즈, 하드렌즈

 

안녕하세요

오늘은 소프트렌즈, 하드렌즈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

어느 정도 알고 나면 자기 자신한테 무엇이 나을지 감이 잡히실 겁니다

쉽고 간단하게 정리했으니 잘 봐주세요~

 

 

  • 소프트렌즈
  • 하드렌즈

 


소프트렌즈, 하드렌즈 차이점, 장단점 총 정리!

 

소프트렌즈

교정 원리

소프트렌즈 자체에 도수를 넣어 교정한다(각막에 직접적으로 영향 X)

단점으론 판매하는 도수가 제한적이라 고도의 근시, 원시, 난시 도수는 구하기가 힘들다

그래서 눈이 나쁜 사람은 완벽하게 도수 교정이 힘들 수 있다

 

 

재질
  • 부드럽다
  • 말랑말랑하다
  • 수분감이 있다
  • 눈에 딱 붙는 착용감

위와 같은 특징 때문에 처음 착용했을 때 크게 통증이나 과도한 눈 깜빡임 등 거부반응이 없다(적응이 빠르다)

그리고 눈에 붙어있기 때문에 눈을 깜빡일 때 움직임이 거의 없어 이물감이 거의 없다

 

 

산소공급&눈물 순환
하드렌즈에 비해 떨어진다

왜냐하면

 

눈이 산소를 공급받으려면 크게 두 가지가 있다

1. 콘택트렌즈에 의한 산소 전달

2. 눈을 깜빡일 때 렌즈가 움직이면서 산소 전달

 

소프트렌즈는 눈을 깜빡일 때 렌즈의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첫 번째 방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

눈물 순환도 마찬가지로 눈을 깜빡일 때 렌즈가 움직이면서 순환이 잘 되는데 소프트렌즈는 힘들다

 

 

건조감
하드렌즈에 비해 심한 편

왜냐하면

 

소프트렌즈는 렌즈 자체에 수분감이 있는데, 

이 수분이 있어야 렌즈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다

그래서 소프트렌즈에 수분이 사라지면 눈에서 수분을 당겨오면서 눈은 건조감을 느낀다

 

그래서 건성안이나 집중을 많이 해서 눈 깜빡임이 줄어드는 직업군을 가진 사람이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면

건조감이 더 많이 느껴진다

건조감 → 충혈로 이어진다

 

 

침전물
단백질이 주로 낀다

 

 

직경
하드렌즈에 비해 크다

그래서 눈이 작은 사람은 처음 착용할 때 불편함을 느낀다

 

 

주의사항
소프트렌즈는 재질이 하드렌즈에 비해 약하다

그래서 찢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

렌즈를 착용할 때, 렌즈를 뺄 때, 세척할 때

손톱 조심!!!

 

 

추천&비추천하는 사람

●추천!

활동성이 많은 직업군이나 사람들은 추천한다

 

왜냐하면

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가 파손되거나, 빠질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

 

●비추천! 

주변 환경이 많이 건조하거나, 

눈 깜빡임 횟수가 감소하는 일이 많은 사람은 하드렌즈를 추천한다.

 

 

장점&단점

●장점!

  • 재질이 부드러워 착용감이 좋다
  • 적응이 빠르다
  • 렌즈를 빼기가 편하다
  • 잃어버리거나 찢어져도 하드렌즈에 비해 금전적인 부담이 덜하다
  • 눈에서 빠질 일이 거의 없다
  • 일회용 제품도 있어서 편리하다
  • 컬러렌즈가 있어서 미용적으로 좋다

 

●단점!

  • 눈이 작은 사람은 처음에 착용하기 힘들 수 있다
  • 건조감이 금방 느껴진다(눈물 순환, 산소투과율 ↓)
  • 하루 권장 착용시간이 짧다(권장 약 8시간, 렌즈의 급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)
  • 수명이 짧다(6개월~1년, 어떻게 관리하느냐, 렌즈의 급에 따라 다르다)
  • 하드렌즈에 비해 시력교정 능력이 떨어진다
  • 눈이 많이 나쁠 경우 소프트렌즈로는 완벽하게 교정이 힘들다
  • 하드렌즈에 비해 오염이 쉽다(합병증↑)
  • 난시렌즈일 경우 렌즈가 돌아가면 시력이 떨어진다

 


 

하드렌즈

교정 원리

난시가 있는 사람들은 각막이 울퉁불퉁하다.

하드렌즈도 렌즈 자체에 도수를 넣어 교정을 하는데,

▶여기서 소프트렌즈와 다른 점!

하드렌즈가 울퉁불퉁한 각막을 눌러 편평하게 만들어 소프트렌즈보다 난시 교정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

(그래서 재질이 딱딱하다)

 

 

재질
  • 딱딱하다
  • 수분감이 없다
  • 눈에 떠있는 느낌

위와 같은 특징 때문에 처음 하드렌즈를 착용했을 때 거부반응이 많이 생긴다

거부반응으로는 이물감, 눈물, 충혈, 통증 등이 있다

그래서 처음에 적응하기가 힘들다

 

 

산소공급&눈물순환
소프트렌즈에 비해 우수하다

소프트렌즈는 눈을 깜빡일 때 움직이질 않아서 렌즈 자체에서 밖에 공급을 받을 수 없었다.

하지만 하드렌즈는 눈을 깜빡일 때마다 렌즈가 움직이기 때문에 산소공급, 눈물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

 

 

건조감
소프트렌즈에 비해 우수하다

 왜냐하면

하드렌즈 자체에 수분감이 없기 때문에 눈에서부터 수분을 뺏어 올 일도 없고, 

렌즈 자체의 산소투과율이 높고 눈을 깜빡일 때 잘 움직이기 때문에 눈물 순환도 잘 되기 때문이다.

 

 

침전물
지방이 주로 낀다

 

 

직경
소프트렌즈에 비해 작다

그래서 눈이 작은 사람들도 착용하기는 쉽다

 

 

주의사항
소프트렌즈에 비해 딱딱한 재질

1. 렌즈 재질이 딱딱하기 때문에 렌즈를 낀 상태로 외부 충격을 받으면 눈에 매우 위험하다

2. 피팅이 잘 안 되어있거나, 충격을 받으면 렌즈가 잘 빠질 수 있다.(잃어버릴 수 있다)

3. 안경을 맞추기 위한 시력측정(최소 1주),

    시력교정 수술(라식, 라섹)을 위한 정밀검사를 하려면 하드렌즈 착용을 최소 2~3주는 착용하지 말아야 한다

    왜냐하면

       하드렌즈의 교정 원리 때문이다

       울퉁불퉁한 각막을 눌려 편평하게 만들어 교정하기 때문에

       정상적인 본래 눈의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안 나온다

 

 

추천&비추천하는 사람

●추천!

선명한 교정시력을 원하는 사람

주변 환경이 건조하거나 눈을 깜빡일 일이 감소하는 사람

 

●비추천!

활동성이 많은 사람

 

 

장점&단점

●장점!

  • 눈이 작아도 착용하기 수월하다
  • 건조감이 소프트렌즈에 비해 훨씬 덜하다
  • 하루 장시간 착용 가능
  • 시력교정 능력이 우수하다
  • 소프트렌즈에 비해 오염이 덜된다
  • 수명이 길다(2년, 어떻게 관리하는지, 렌즈의 급에 따라 다르다)

●단점!

  • 착용감이 안 좋다
  • 적응이 느리다
  • 렌즈를 뺄 때 불편하다(도구를 이용해야 함, 물론 숙련이 된 사람은 손으로 하기도 한다)
  • 눈에서 빠질 위험이 있다(분실 위험↑)
  • 미용효과가 없다
  • 눈의 정밀검사를 해야 할 일이 있으면 약 1주~3주 까지 하드렌즈를 착용할 수 없다
  • 잃어버리거나 파손이 되면 금전적인 부담이 크다

 

 

 

오늘은 소프트렌즈, 하드렌즈의 차이점, 장단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
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