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
오늘은 소프트렌즈, 하드렌즈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
어느 정도 알고 나면 자기 자신한테 무엇이 나을지 감이 잡히실 겁니다
쉽고 간단하게 정리했으니 잘 봐주세요~
- 소프트렌즈
- 하드렌즈
소프트렌즈, 하드렌즈 차이점, 장단점 총 정리!
소프트렌즈
교정 원리
소프트렌즈 자체에 도수를 넣어 교정한다(각막에 직접적으로 영향 X)
단점으론 판매하는 도수가 제한적이라 고도의 근시, 원시, 난시 도수는 구하기가 힘들다
그래서 눈이 나쁜 사람은 완벽하게 도수 교정이 힘들 수 있다
재질
- 부드럽다
- 말랑말랑하다
- 수분감이 있다
- 눈에 딱 붙는 착용감
위와 같은 특징 때문에 처음 착용했을 때 크게 통증이나 과도한 눈 깜빡임 등 거부반응이 없다(적응이 빠르다)
그리고 눈에 붙어있기 때문에 눈을 깜빡일 때 움직임이 거의 없어 이물감이 거의 없다
산소공급&눈물 순환
하드렌즈에 비해 떨어진다
왜냐하면
눈이 산소를 공급받으려면 크게 두 가지가 있다
1. 콘택트렌즈에 의한 산소 전달
2. 눈을 깜빡일 때 렌즈가 움직이면서 산소 전달
소프트렌즈는 눈을 깜빡일 때 렌즈의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첫 번째 방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
눈물 순환도 마찬가지로 눈을 깜빡일 때 렌즈가 움직이면서 순환이 잘 되는데 소프트렌즈는 힘들다
건조감
하드렌즈에 비해 심한 편
왜냐하면
소프트렌즈는 렌즈 자체에 수분감이 있는데,
이 수분이 있어야 렌즈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다
그래서 소프트렌즈에 수분이 사라지면 눈에서 수분을 당겨오면서 눈은 건조감을 느낀다
그래서 건성안이나 집중을 많이 해서 눈 깜빡임이 줄어드는 직업군을 가진 사람이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면
건조감이 더 많이 느껴진다
건조감 → 충혈로 이어진다
침전물
단백질이 주로 낀다
직경
하드렌즈에 비해 크다
그래서 눈이 작은 사람은 처음 착용할 때 불편함을 느낀다
주의사항
소프트렌즈는 재질이 하드렌즈에 비해 약하다
그래서 찢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
렌즈를 착용할 때, 렌즈를 뺄 때, 세척할 때
손톱 조심!!!
추천&비추천하는 사람
●추천!
활동성이 많은 직업군이나 사람들은 추천한다
왜냐하면
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가 파손되거나, 빠질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
●비추천!
주변 환경이 많이 건조하거나,
눈 깜빡임 횟수가 감소하는 일이 많은 사람은 하드렌즈를 추천한다.
장점&단점
●장점!
- 재질이 부드러워 착용감이 좋다
- 적응이 빠르다
- 렌즈를 빼기가 편하다
- 잃어버리거나 찢어져도 하드렌즈에 비해 금전적인 부담이 덜하다
- 눈에서 빠질 일이 거의 없다
- 일회용 제품도 있어서 편리하다
- 컬러렌즈가 있어서 미용적으로 좋다
●단점!
- 눈이 작은 사람은 처음에 착용하기 힘들 수 있다
- 건조감이 금방 느껴진다(눈물 순환, 산소투과율 ↓)
- 하루 권장 착용시간이 짧다(권장 약 8시간, 렌즈의 급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)
- 수명이 짧다(6개월~1년, 어떻게 관리하느냐, 렌즈의 급에 따라 다르다)
- 하드렌즈에 비해 시력교정 능력이 떨어진다
- 눈이 많이 나쁠 경우 소프트렌즈로는 완벽하게 교정이 힘들다
- 하드렌즈에 비해 오염이 쉽다(합병증↑)
- 난시렌즈일 경우 렌즈가 돌아가면 시력이 떨어진다
하드렌즈
교정 원리
난시가 있는 사람들은 각막이 울퉁불퉁하다.
하드렌즈도 렌즈 자체에 도수를 넣어 교정을 하는데,
▶여기서 소프트렌즈와 다른 점!
하드렌즈가 울퉁불퉁한 각막을 눌러 편평하게 만들어 소프트렌즈보다 난시 교정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
(그래서 재질이 딱딱하다)
재질
- 딱딱하다
- 수분감이 없다
- 눈에 떠있는 느낌
위와 같은 특징 때문에 처음 하드렌즈를 착용했을 때 거부반응이 많이 생긴다
거부반응으로는 이물감, 눈물, 충혈, 통증 등이 있다
그래서 처음에 적응하기가 힘들다
산소공급&눈물순환
소프트렌즈에 비해 우수하다
소프트렌즈는 눈을 깜빡일 때 움직이질 않아서 렌즈 자체에서 밖에 공급을 받을 수 없었다.
하지만 하드렌즈는 눈을 깜빡일 때마다 렌즈가 움직이기 때문에 산소공급, 눈물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
건조감
소프트렌즈에 비해 우수하다
왜냐하면
하드렌즈 자체에 수분감이 없기 때문에 눈에서부터 수분을 뺏어 올 일도 없고,
렌즈 자체의 산소투과율이 높고 눈을 깜빡일 때 잘 움직이기 때문에 눈물 순환도 잘 되기 때문이다.
침전물
지방이 주로 낀다
직경
소프트렌즈에 비해 작다
그래서 눈이 작은 사람들도 착용하기는 쉽다
주의사항
소프트렌즈에 비해 딱딱한 재질
1. 렌즈 재질이 딱딱하기 때문에 렌즈를 낀 상태로 외부 충격을 받으면 눈에 매우 위험하다
2. 피팅이 잘 안 되어있거나, 충격을 받으면 렌즈가 잘 빠질 수 있다.(잃어버릴 수 있다)
3. 안경을 맞추기 위한 시력측정(최소 1주),
시력교정 수술(라식, 라섹)을 위한 정밀검사를 하려면 하드렌즈 착용을 최소 2~3주는 착용하지 말아야 한다
왜냐하면
하드렌즈의 교정 원리 때문이다
울퉁불퉁한 각막을 눌려 편평하게 만들어 교정하기 때문에
정상적인 본래 눈의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안 나온다
추천&비추천하는 사람
●추천!
선명한 교정시력을 원하는 사람
주변 환경이 건조하거나 눈을 깜빡일 일이 감소하는 사람
●비추천!
활동성이 많은 사람
장점&단점
●장점!
- 눈이 작아도 착용하기 수월하다
- 건조감이 소프트렌즈에 비해 훨씬 덜하다
- 하루 장시간 착용 가능
- 시력교정 능력이 우수하다
- 소프트렌즈에 비해 오염이 덜된다
- 수명이 길다(2년, 어떻게 관리하는지, 렌즈의 급에 따라 다르다)
●단점!
- 착용감이 안 좋다
- 적응이 느리다
- 렌즈를 뺄 때 불편하다(도구를 이용해야 함, 물론 숙련이 된 사람은 손으로 하기도 한다)
- 눈에서 빠질 위험이 있다(분실 위험↑)
- 미용효과가 없다
- 눈의 정밀검사를 해야 할 일이 있으면 약 1주~3주 까지 하드렌즈를 착용할 수 없다
- 잃어버리거나 파손이 되면 금전적인 부담이 크다
오늘은 소프트렌즈, 하드렌즈의 차이점, 장단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멀미하는 이유, 멀미 원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/ 멀미 안하는법, 키미테 원리, 귀미테 (0) | 2022.04.09 |
---|---|
목 아플 때, 목이 부었을 때, 칼칼할 때 꿀 팁!! / 최고의 방법 (0) | 2022.04.08 |
라섹, 라식, 스마일라식, 안내렌즈삽입술 차이점 총 정리! / 장점, 단점, 주의사항 (0) | 2022.04.04 |
남극, 북극 차이점 총 정리! (0) | 2022.04.03 |
타이어 기본 상식 총 정리! / 내 타이어 알기 / 규격, 종류, 수명, 교체시기 (0) | 2022.04.02 |